맨위로가기

일본 프로 야구 최다 도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 프로 야구 최다 도루는 일본 프로 야구에서 한 시즌 동안 가장 많은 도루를 기록한 선수에게 주어지는 타이틀이다. 1936년부터 1949년까지의 단일 리그 시대에는 가와니시 도시오가 3년 연속 최다 도루를 기록했으며, 1950년 양대 리그 출범 이후 센트럴 리그에서는 가나야마 지로, 퍼시픽 리그에서는 기즈카 주스케가 처음으로 각 리그 최다 도루 타이틀을 획득했다. 일본 프로 야구 역대 최다 도루 기록은 1972년 후쿠모토 유타카가 기록한 106도루이며, 센트럴 리그는 1983년 마쓰모토 다다시가 76도루로, 퍼시픽 리그는 1972년 후쿠모토 유타카가 106도루로 각 리그 최다 도루를 기록했다. 최다 도루왕은 후쿠모토 유타카가 13회로 가장 많으며, 지카모토 고지, 니시카와 하루키, 야마다 데쓰토 등 여러 선수들이 여러 차례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프로 야구 기록 - 일본 프로 야구 최우수 투수
    일본 프로 야구 최우수 투수상은 일본 프로 야구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친 투수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퍼시픽 리그는 1953년부터, 센트럴 리그는 1967년부터 시상을 시작하여 초기에는 베스트 나인에 선정된 투수를 대상으로 했으며, 2002년부터 2012년까지는 최고 승률을 기록한 투수에게 수여, 2013년부터는 '승률 제1위 투수상'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일본 프로 야구 기록 - 일본 프로 야구 최고 출루율
    일본 프로 야구 최고 출루율은 각 리그에서 가장 높은 출루율을 기록한 선수에게 주어지는 타이틀로, 안타, 볼넷, 몸에 맞는 공, 희생 플라이 등을 포함한 타자의 출루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며, 오 사다하루가 최다 수상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일본 프로 야구상 - 미쓰이 골든 글러브상
    미쓰이 골든 글러브상은 일본 프로 야구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에서 포지션별 최고의 수비 능력을 보여준 선수에게 주어지는 상으로, 1972년 다이아몬드 글러브상으로 시작하여 1986년부터 미쓰이 그룹의 후원을 받아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프로 야구 기자들의 투표로 수상자를 선정한다.
  • 일본 프로 야구상 - 일본 프로 야구 최우수 투수
    일본 프로 야구 최우수 투수상은 일본 프로 야구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친 투수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퍼시픽 리그는 1953년부터, 센트럴 리그는 1967년부터 시상을 시작하여 초기에는 베스트 나인에 선정된 투수를 대상으로 했으며, 2002년부터 2012년까지는 최고 승률을 기록한 투수에게 수여, 2013년부터는 '승률 제1위 투수상'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퍼시픽 리그 - 오타니 쇼헤이
    오타니 쇼헤이는 일본 프로야구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투수와 타자 모두 뛰어난 실력을 보여주며 MVP를 수상하고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운 이도류 야구 선수이다.
  • 퍼시픽 리그 - 백인천
    백인천은 중화민국 출신의 대한민국 야구 선수 및 감독으로, 일본과 한국에서 선수와 지도자로 활동하며, KBO 리그에서 1982년 최고 타율을 기록하고, LG 트윈스를 우승으로 이끌었으며, 해설위원으로도 활동했다.
일본 프로 야구 최다 도루
최다 도루
리그NPB
종목프로 야구
수상 대상레귤러 시즌 1년 동안 도루 수가 가장 많은 선수
별칭도루왕
첫 수상1936년
첫 수상자가리타 히사노리
최다 수상13회
후쿠모토 유타카
최근 수상지카모토 고지
슈토 우쿄
기록'106'
후쿠모토 유타카 (1972년)

2. 역대 도루왕

정규 시즌 1년 동안 도루 수가 가장 많은 선수에게 주어지는 상으로, 센트럴 리그, 퍼시픽 리그 각 리그별로 선정된다.[7][8] NPB 시즌 표창의 타격 부문 중 유일하게 타자가 아닌 주자에 관한 상이기 때문에, 타석에 전혀 서지 않고 대주자만으로도 수상할 수 있다.

센트럴 리그에서는 야수가 받을 수 있는 타이틀 중 유일하게 외국인 선수 수상자가 없다.

도루 수가 가장 많은 선수가 규정 타석에 도달하지 않아도 선정 대상이 되며, 현재까지 1리그 시대에 1차례, 센트럴 리그에서 7차례, 퍼시픽 리그에서 5차례(4명)의 사례가 있다.[1][2] 또한, 도루 성공률은 고려하지 않으며, 성공률에 차이가 있더라도 횟수가 같으면 여러 명이 공동 수상하게 된다.[3][4] 이 때문에 리그 최다 도루 실패를 기록한 선수가 도루왕을 차지하는 경우도 있어, 팀에 대한 공헌도와 반드시 비례하지는 않는다는 지적이 있다.[5] 이러한 배경에서 도루왕을 5차례 수상한 아카호시 노리히로는 도루 실패 횟수를 고려하는 지표인 ‘아카호시식 도루’를 제창하기도 했다.[5]

2. 1. 단일 리그 시대

wikitext

연도선수 이름소속 구단도루 수
1936년 추계가리타 히사노리도쿄 세네터스16
1937년 춘계야마구치 마사노부오사카 타이거스29
1937년 추계시마 히데노스케나고야 긴코군22
기토 가즈오라이온군
1938년 춘계에구치 유키오나고야 긴코군14
1938년 추계사사키 쓰네스케나고야 긴코군20
1939년야마다 덴(1)한큐군30
고미 요시오나고야 긴코군
1940년이시다 마사요시나고야군32
1941년쓰보우치 미치노리(1)아사히군26
1942년쓰보우치 미치노리(2)아사히군44
1943년야마다 덴(2)한큐군56
1944년오 창정한신군19
고 신교도쿄 교진군
1946년가와니시 도시오(1)그레이트 링39
1947년가와니시 도시오(2)난카이 호크스53
1948년가와니시 도시오(3)난카이 호크스66
1949년기즈카 주스케(1)난카이 호크스59


2. 2. 양대 리그 시대

연도센트럴 리그퍼시픽 리그
성명소속도루성명소속도루
1950가나야마 지로쇼치쿠 로빈스74기즈카 주스케난카이 호크스78
1951쓰치야 고로고쿠테쓰 스왈로스52기즈카 주스케난카이 호크스55
1952가나야마 지로쇼치쿠 로빈스63기즈카 주스케난카이 호크스55
1953가나야마 지로히로시마 카프58래리 레인스한큐 브레이브스61
1954요시다 요시오오사카 타이거스51스즈키 다케시긴테쓰 펄스71
1955혼다 이쓰로주니치 드래건스42모리시타 마사오난카이 호크스59
1956요시다 요시오오사카 타이거스50고노 아키테루한큐 브레이브스85
1957이이다 도쿠지고쿠테쓰 스왈로스40고노 아키테루한큐 브레이브스56
1958오카지마 히로지주니치 드래건스47로베르토 바본한큐 브레이브스38
1959오카지마 히로지주니치 드래건스41로베르토 바본한큐 브레이브스38
1960나카 도시오주니치 드래건스50로베르토 바본한큐 브레이브스32
1961곤도 가즈히코다이요 웨일스35히로세 요시노리난카이 호크스42
1962고노 아키테루주니치 드래건스26히로세 요시노리난카이 호크스50
1963다카기 모리미치주니치 드래건스50히로세 요시노리난카이 호크스45
1964고바 다케시히로시마 카프57히로세 요시노리난카이 호크스72
1965다카기 모리미치주니치 드래건스44히로세 요시노리난카이 호크스39
1966시바타 이사오요미우리 자이언츠46야마모토 고시한큐 브레이브스32
1967시바타 이사오요미우리 자이언츠70니시다 다카유키도쿄 오리온스32
1968고바 다케시히로시마 도요 카프39야스이 도시노리긴테쓰 버펄로스54
1969시바타 이사오요미우리 자이언츠35사카모토 도시조한큐 브레이브스47
1970도조 후미히로야쿠르트 아톰스28후쿠모토 유타카한큐 브레이브스75
1971다카다 시게루요미우리 자이언츠38후쿠모토 유타카한큐 브레이브스67
1972시바타 이사오요미우리 자이언츠45후쿠모토 유타카한큐 브레이브스106
1973다카기 모리미치주니치 드래건스28후쿠모토 유타카한큐 브레이브스95
1974나카쓰카 마사유키다이요 웨일스28후쿠모토 유타카한큐 브레이브스94
1975오시타 쓰요시히로시마 도요 카프44후쿠모토 유타카한큐 브레이브스63
1976기누가사 사치오히로시마 도요 카프31후쿠모토 유타카한큐 브레이브스62
1977시바타 이사오요미우리 자이언츠34후쿠모토 유타카한큐 브레이브스61
1978시바타 이사오요미우리 자이언츠34후쿠모토 유타카한큐 브레이브스70
1979다카하시 요시히코히로시마 도요 카프55후쿠모토 유타카한큐 브레이브스60
1980다카하시 요시히코히로시마 도요 카프38후쿠모토 유타카한큐 브레이브스54
1981아오키 미노루야쿠르트 스왈로스34후쿠모토 유타카한큐 브레이브스54
1982마쓰모토 다다시요미우리 자이언츠61후쿠모토 유타카한큐 브레이브스54
1983마쓰모토 다다시요미우리 자이언츠76오이시 다이지로긴테쓰 버펄로스60
1984다카기 유타카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56오이시 다이지로긴테쓰 버펄로스46
1985다카하시 요시히코히로시마 도요 카프73마쓰나가 히로미한큐 브레이브스38
1986야시키 가나메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48니시무라 노리후미롯데 오리온스36
히라노 겐주니치 드래건스
1987야시키 가나메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48니시무라 노리후미롯데 오리온스41
오이시 다이지로긴테쓰 버펄로스
1988야시키 가나메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33니시무라 노리후미롯데 오리온스55
1989쇼다 고조히로시마 도요 카프34니시무라 노리후미롯데 오리온스42
1990오가타 고이치요미우리 자이언츠33아키야마 고지세이부 라이온스51
노무라 겐지로히로시마 도요 카프
1991노무라 겐지로히로시마 도요 카프31오노 히사시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42
1992이이다 데쓰야야쿠르트 스왈로스33사사키 마코토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40
1993오가타 고이치요미우리 자이언츠24오이시 다이지로긴테쓰 버펄로스31
이시이 다쿠로요코하마 베이스타스
1994노무라 겐지로히로시마 도요 카프37사사키 마코토세이부 라이온스37
1995오가타 고이치히로시마 도요 카프47이치로오릭스 블루웨이브49
1996오가타 고이치히로시마 도요 카프50무라마쓰 아리히토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58
1997오가타 고이치히로시마 도요 카프49마쓰이 가즈오세이부 라이온스62
1998이시이 다쿠로요코하마 베이스타스39마쓰이 가즈오세이부 라이온스43
고사카 마코토지바 롯데 마린스
1999이시이 다쿠로요코하마 베이스타스39마쓰이 가즈오세이부 라이온스32
2000이시이 다쿠로요코하마 베이스타스35고사카 마코토지바 롯데 마린스33
2001아카호시 노리히로한신 타이거스39이구치 다다히토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44
2002아카호시 노리히로한신 타이거스26다니 요시토모오릭스 블루웨이브41
2003아카호시 노리히로한신 타이거스61이구치 다다히토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42
2004아카호시 노리히로한신 타이거스64가와사키 무네노리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42
2005아카호시 노리히로한신 타이거스60니시오카 쓰요시지바 롯데 마린스41
2006아오키 노리치카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41니시오카 쓰요시지바 롯데 마린스33
2007아라키 마사히로주니치 드래건스31가타오카 야스유키세이부 라이온스38
2008후쿠치 가즈키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42가타오카 야스유키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50
2009후쿠치 가즈키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42가타오카 야스유키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51
2010소요기 에이신히로시마 도요 카프43혼다 유이치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59
가타오카 야스유키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011후지무라 다이스케요미우리 자이언츠28혼다 유이치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60
2012오시마 요헤이주니치 드래건스32히지리사와 료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54
2013마루 요시히로히로시마 도요 카프29요 다이칸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47
2014가지타니 다카유키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39니시카와 하루키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43
2015야마다 데쓰토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34나카시마 다쿠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34
2016야마다 데쓰토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30이토이 요시오오릭스 버펄로스53
가네코 유지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017다나카 고스케히로시마 도요 카프35니시카와 하루키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39
2018야마다 데쓰토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33니시카와 하루키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44
2019지카모토 고지한신 타이거스36가네코 유지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41
2020지카모토 고지한신 타이거스31슈토 우쿄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50
2021나카노 다쿠무한신 타이거스30겐다 소스케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24
오기노 다카시지바 롯데 마린스
와다 고시로지바 롯데 마린스
니시카와 하루키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022지카모토 고지한신 타이거스30다카베 아키토지바 롯데 마린스44
2023지카모토 고지한신 타이거스28고부카타 히로토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36
슈토 우쿄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4지카모토 고지한신 타이거스19슈토 우쿄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41


  • '''굵은 글씨'''는 리그 기록.
  • '''106'''은 NPB 역대 최고 성적

3. 주요 기록

정규 시즌 1년 동안 도루 수가 가장 많은 선수에게 주어지는 상으로, 센트럴 리그, 퍼시픽 리그 각 리그별로 선정된다. 또한 NPB 시즌 표창의 타격 부문 중 유일하게 타자가 아닌 주자에 관한 상이다. 따라서 '타격 부문'이면서 타석에 전혀 서지 않고 대주자만으로도 수상 가능한 상이다.

센트럴 리그에서는 야수가 받을 수 있는 타이틀 중 유일하게 외국인 선수 수상자가 없다.

도루 수가 가장 많은 선수가 규정 타석에 도달하지 않아도 선정 대상이 되며, 현재까지 단일 리그 시절에는 1차례, 센트럴 리그에서는 7차례, 퍼시픽 리그에서는 5차례(4명)나 있다.[1][2] 또한, 도루 성공률은 고려하지 않으며, 도루 성공률에 차이가 있어도 횟수가 같으면 여러 명이 수상하게 된다.[3][4] 이로 인해, 리그 최다 도루 실패를 기록한 선수가 수상하는 경우도 있어, 팀에 대한 공헌도와 비례하지 않는다는 지적을 받기도 한다.[5] 이러한 배경에서 도루왕을 5차례 수상한 아카호시 노리히로는 도루 실패 횟수를 고려하는 지표인 ‘아카호시식 도루’를 제창하여 주목받고 있다.[5]

3. 1. 여러 차례 수상자

4회 이상 수상자 명단이다. '''굵은 글씨'''는 현역 선수이다.

선수횟수연도
후쿠모토 유타카13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시바타 이사오61966, 1967, 1969, 1972, 1977, 1978
히로세 요시노리51961, 1962, 1963, 1964, 1965
아카호시 노리히로52001, 2002, 2003, 2004, 2005
지카모토 고지52019, 2020, 2022, 2023, 2024
기즈카 주스케41949, 1950, 1951, 1952
니시무라 노리후미41986, 1987, 1988, 1989
오이시 다이지로41983, 1984, 1987, 1993
이시이 다쿠로41993, 1998, 1999, 2000
가타오카 야스유키42007, 2008, 2009, 2010
니시카와 하루키42014, 2017, 2018, 2021


3. 2. 기타 기록


  • 리그별 최다 도루
  • * 센트럴 리그 : 76개 → 마츠모토 마사시 (1983년)
  • * 퍼시픽 리그 : 106개 → 후쿠모토 유타카 (1972년)
  • 리그별 최소 도루
  • * 센트럴 리그 : 19개 → 치카모토 코지 (2024년)
  • * 퍼시픽 리그 : 24개 → 니시카와 하루키, 오기노 타카시, 겐다 소스케, 와다 코시로 (2021년)
  • 최연소 도루왕 : 야마구치 마사노부 (21세 2개월, 1937년 봄)
  • * ※ 양대 리그제 이후 최연소 : 요시다 요시오 (1954년), 니시오카 츠요시 (2005년) - 모두 21세
  • 최고령 도루왕 : 오기노 타카시 (36세 0개월, 2021년) ※ 시즌 종료 월말 기준 나이
  • 최소 타석 도루왕 : 와다 코시로 (24타석, 2021년)
  • 최고 성공률 도루왕 : 야마다 테츠토 (2016년), 나카노 타쿠무 (2021년) - 9할 3푼 8리 (30도루, 2도루 실패)
  • * ※ 1941년까지는 도루 실패 기록 불명
  • 최저 성공률 도루왕 : 노무라 켄지로 (1990년) - 5할 8푼 9리 (33도루, 23도루 실패)
  • * ※ 1941년까지는 도루 실패 기록 불명
  • 복수 구단 소속으로 도루왕 : 카나야마 지로 (쇼치쿠, 히로시마), 코노 아키테루 (한큐, 주니치), 사사키 마코토 (다이에, 세이부)

센트럴·퍼시픽 양대 리그 도루왕** : 코노 아키테루 (센트럴 리그 1회, 퍼시픽 리그 2회)[6]

참조

[1] 문서 1リーグ時代の該当者は、* [[呉昌征]](1944年、[[阪神タイガース|阪神]])セ・リーグの該当者は、* [[土屋五郎]](1951年、[[東京ヤクルトスワローズ|国鉄]])* [[柴田勲]](1969年、[[読売ジャイアンツ|巨人]])* [[青木実]](1981年、ヤクルト)* [[緒方耕一]](1993年、巨人)* [[緒方孝市]](1995年、[[広島東洋カープ|広島]])* [[赤星憲広]](2002年、阪神)* [[藤村大介 (野球)|藤村大介]](2011年、巨人)パ・リーグの該当者は、* [[山本公士]](1966年、[[オリックス・バファローズ|阪急]])* [[西田孝之]](1967年、[[千葉ロッテマリーンズ|東京]])* [[周東佑京]](2020年・2023年、[[福岡ソフトバンクホークス|ソフトバンク]])* [[和田康士朗]](2021年、[[千葉ロッテマリーンズ|ロッテ]])
[2] 문서 特に極端な例として2021年のパ・リーグでは千葉ロッテマリーンズの[[和田康士朗]]がわずか24打席、自力での出塁は5安打、5四球のみながら代走起用を中心に24盗塁を積み上げ、本タイトルを受賞している。
[3] 문서 複数人受賞で盗塁成功率に1割以上差がある例を挙げると、* 1990年セ・リーグ** [[緒方耕一]]:7割3分3厘(12盗塁死)、[[野村謙二郎]]:5割8分9厘(23盗塁死)* 1993年セ・リーグ** 緒方耕一:8割2分8厘(5盗塁死)、[[石井琢朗]]:6割(16盗塁死)* 2021年パ・リーグ** [[和田康士朗]]:8割2分8厘(5盗塁死)、[[源田壮亮]]:7割2分7厘(9盗塁死)、[[荻野貴司]]・[[西川遥輝]]:6割8分6厘(11盗塁死)
[4] 문서 2016年パ・リーグ盗塁王の[[糸井嘉男]]と[[金子侑司]]は盗塁成功率も一致している。
[5] 웹사이트 価値ある盗塁王は誰だ! ”赤星式盗塁” で見る歴代盗塁ランキングトップ10、2020年ランキングトップ5は? https://news.livedoo[...] 野球専門メディア・ベースボールチャンネル 2021-02-13
[6] 뉴스 糸井、阪神でもハッピーになる!両リーグ盗塁王で来季も晴れ舞台へ https://www.sanspo.c[...] サンスポ 2016-11-29
[7] 문서 단일 리그 시절의 해당 선수* [[고 쇼세이]](1944년, [[한신 타이거스|한신]])센트럴 리그의 해당 선수* [[쓰치야 고로]](1951년,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고쿠테쓰]])* [[시바타 이사오]](1969년, [[요미우리 자이언츠|요미우리]])* [[아오키 미노루 (1954년)|아오키 미노루]](1981년, 야쿠르트)* [[오가타 고이치 (1968년 9월)|오가타 고이치]](1993년, 요미우리)* [[오가타 고이치 (1968년 12월)|오가타 고이치]](1995년, [[히로시마 도요 카프|히로시마]])* [[아카호시 노리히로]](2002년, 한신)* [[후지무라 다이스케]](2011년, 요미우리)퍼시픽 리그의 해당 선수* [[야마모토 고시]](1966년, [[오릭스 버펄로스|한큐]])* [[니시다 다카유키]](1967년, [[지바 롯데 마린스|도쿄]])* [[슈토 우쿄]](2020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소프트뱅크]])* [[와다 고시로]](2021년, 지바 롯데)
[8] 문서 특히 극단적인 예로 2021년 퍼시픽 리그에서는 지바 롯데 마린스의 [[와다 고시로]]가 불과 24타석, 자력 출루는 5안타, 5볼넷에 그치면서도 대주자로서의 기용을 중심으로 24개의 도루를 기록하여 도루왕을 차지했다.
[9] 문서 복수의 수상에서 도루 성공률에 1할 이상 차이가 있는 사례를 들자면 1990년 센트럴 리그 도루왕이었던 [[오가타 고이치 (1968년 9월)|오가타 고이치]]가 7할 3푼 3리(12도루사)인데 비해 [[노무라 겐지로]]는 5할 8푼 9리(23도루사), 1993년 센트럴 리그 도루왕이었던 오가타 고이치가 8할 2푼 8리(5도루사)인데 비해 [[이시이 다쿠로]]는 6할(16도루사)이었다.
[10] 문서 2016년 퍼시픽 리그 도루왕을 차지한 [[이토이 요시오]]와 [[가네코 유지]]는 도루 성공률도 일치했다.
[11] 웹인용 価値ある盗塁王は誰だ! ”赤星式盗塁” で見る歴代盗塁ランキングトップ10、2020年ランキングトップ5は? https://news.livedoo[...] 野球専門メディア・ベースボールチャンネル 2021-10-23
[12] 뉴스 糸井、阪神でもハッピーになる!両リーグ盗塁王で来季も晴れ舞台へ https://www.sanspo.c[...] 산케이 스포츠 2021-08-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